인천 지역 시민단체인 서구발전협의회, 검단시민연합, 인천시민연합 등이 지난 23일 보도자료를 내고 환경부가 수도권매립지 2026년 직매립 금지 정책 시행을 2년이나 유예하려는 시도에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 시민단체들은 “환경부가 수도권매립지 직매립 금지 정책의 시행을 2년이나 유예하려는 시도는 환경 정의를 훼손하고, 쓰레기 문제 해결을 미루며, 미래 세대에게 막대한 부담을 떠넘기는 무책임하고 퇴행적인 행동임이 명백하다”고 주장했다 또,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직매립 금지 정책은 이미 수차례 합의와 약속을 통해 확정된 국가적 과제인데, 이를 행정 편의와 일부 이해관계에 따라 번복하는 것은, 주민들과의 약속을 휴지조각으로 만드는 것과 다르지 않다”며 “이 같은 결정이 수도권 지자체 간 환경 갈등을 악화시키고, 자원순환 사회로의 전환을 심각하게 지연시킬 것임을 강력 경고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환경부는 직매립금지 2년 유예 시도를 즉각 철회하고 원안대로 시행하며 ▲폐기물 감량과 재활용 확대를 위한 근본적 대책과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마련하며 ▲주민, 전문가,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공개적 논의의 장을 즉각 열고, 책임 있는 대안을 제시 등을 강력히 요구
인천시의 F1 유치 추진에 반대하는 인천평화복지연대 등 인천시민사회 52개 단체가 모여 ‘F1 개최 반대 인천대책위원회’를 발족하고 출범했다. 3일 오전 인천시청 앞에서 인천YMCA, 인천평화복지연대 등 시민사회단체 52개가 모여 인천시의 F1 개최를 반대하는 ‘F1 반대 인천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를 발족하고 출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날 출범식은 차성수 인천YMCA 사무처장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기자회견에서 강주수 인천평화복지연대 상임대표, 김광호 민주노총인천본부장 등이 참석해 규탄발언, 발족선언문 낭독 등을 실시했다. 또 대책위는 F1을 인천에서 개최하는 것에 대해 ▲인천시 재정 악화, ▲인천의 관광여건으로 성공하기 어려운 대회, ▲도심지역 환경유발 문제, ▲사행성 사업으로 시민의 삶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 ▲해당 사업의 공사로 인한 시민들의 출근 차량정체 등 불편 등 5가지 이유를 제시하며 F1의 인천 개최를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 대책위는 이후 F1의 문제점을 시민들에게 알려나가는 것에 주력하며, F1 유치를 진행하는 모든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F1 개최 문제에 대한 토론회 등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이 발표한 성명서 전문은 아래와 같